


Meet The Team

사업단장 민미숙
인하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했고 동물계통분류학으로 동대학원에서 이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 후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에서 보전생물학 및 보전유전학 연구실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동물계통분류학, 척추동물학, 진화학 과목의 강의를 하였으며, 2000년 이후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사업단의 연구원으로서, 2006년부터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의 BK 교수/연구교수로서 재직하면서 너구리의 계통분류 및 집단유전학연구, 야생멧돼지의 유전자마커를 활용한 혈연관계분석 및 유전다양성분석, 멸종위기종인 수달의 개체식별 및 혈연관계분석 등의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척추동물인 동북아시아 양서류의 분자계통분류 및 보전/개체군유전학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여러 종의 국내 양서류 신종을 발표하였다. 초대 한국양서·파충류학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사)천연기념물동물유전자원은행(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의 부은행장직과 환경부 멸종위기종 보전정책위원회 위원직을 맡고 있다.
민미숙 연구교수는 지난 20년간 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을 공동운영하면서 “천연기념물(야생동물) 구조·치료 교육” 프로그램, “개발도상국 과학기술협력 및 역량강화사업”, “포유류연구회” 운영 등에 참여하였고, 한반도 야생동물 보전 및 생물자원확보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부단장 이 항
경상대학교 수의학과를 졸업했고 미국 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의생명과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3년 이후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로서 수의생화학 과목을 담당하면서 야생동물 보전과 관련된 유전학과 보전생물학 연구, 특히 동북아시아와 한반도에서 대형 고양이과 동물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야생동물과 인간의 관계에 관한 정책 연구에도 관여하면서 현재 (사)천연기념물동물유전자원은행(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 (사)한국범보전기금, (사)호랑이스코필드기념사업회, 세 민간기구의 대표로 활동하고 있고, 환경부 멸종위기종 보전정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다.
이항 교수는 지난 20년간 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을 운영하면서 “천연기념물(야생동물) 구조·치료 교육” 프로그램, “개발도상국 과학기술협력 및 역량강화사업”, “포유류연구회” 운영 등, 야생동물, 특히 포유류 관련 차세대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 조정, 발전, 확립시키는데 주도적 역할을 담당해 왔다. 언젠가 한반도에 “범이 다시 내려올” 것으로 굳게 믿고 있다.
참고 사이트:

박영철
연구원
이학박사
성균관대(이학사-유전공학)
서울대(이학석사-생물학)
서울대(이학박사-동물행 동생태학)
서울대 박사후연구원
호주 Flinders Univ 박사후연구원
이화여대 에코과학연구소 연구원
야생동물 관리 및 생태복원
동물행동 및 생태
주요경력
2019.7~현재
-원주지방환경청 환경영향평가 자문위원
2019.1~현재
-한국생태학회 부회장
2016.10~현재
-1생물종보전원 자문위원
2015.4~현재
-Journal of Species Research 편집위원

임상진
연구원
산림학박사
강원대(이학사-환경학)
강원대(농학석사-산림환경보호학)
강원대(산림할박사-동물 행동생태)
야생동물 관리 및 생태복원
동물행동 및 생태
주요경력
2020.7~현재
-(사)한국산양보호협회 이사

박한찬
연구원
수의학박사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석,박사 졸업
전)한국수달연구센터 연구팀장(교육 및 연구)
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 연구원
(사)한국범보전기금 연구원(비상근)
2012 (천연기념물 330호) 서식지(영산강, 섬진강 수계) 현장 조사 연구
2017 대청호 수달 서식 실태 조사 및 수환경 건강성 평가
2017 수달 분변DNA를 이용한 유전자 분석(개체수 확인) 연구 (인제군, 내린천)
2018 생태경관우수지역 발굴조사 : 경북 내성천 일대
2018 수달 분변DNA를 이용한 유전자 분석(개체수 확인) 연구 (인제군, 인북천)
2018, 2019 동물자원의 유전자 다양성 연구(4단계)
2020 자생 멧돼지 효율적 관리를 위한 연구(2차 년도)
한국 수달 보전유전학적 연구

최현명
연구원
조경학석사
포유류전문가, 야생동물 작가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학사 졸업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조경학 석사 졸업
와일드라이프컨설팅 대표
강아지와 고양이를 구별할 때부터 동물에 각인되었다. 전공은 조경학으로 1998년까지 조경설계 일에 참여했다. 그 후 어릴 때 각인된 야생동물의 세계로 되돌아 왔다.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포유동물을 연구하고 있다. 한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야생동물 책을 만드는 게 꿈이다. 연중 많은 시간을 산과 들에서 보내며 또 그런 삶을 즐긴다. 지금까지도 동물을 쫓아 자료를 수집하고 있지만 늘 부족함을 느낀다. 현재 와일드라이프컨설팅 대표로 있으며 야생동물 다큐멘터리 자문, 야생동물 실태조사, 야생동물 강의를 한다. 저서로는 ‘야생동물 흔적도감’ ‘킁킁이가 간다’ ‘늑대가 온다’가 있다.

박태진
연구원
산림자원학석사
동물생태학석사
인제대학교 생물학과 학사 졸업
경상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석사 졸업
지난 20년간 환경영향평가 업무와 각종 국가 및 지역 생태계 조사(전국 자연환경조사, 야생동물 실태조사, 백두대간 보호지역생태계 조사, DMZ일원 생태계조사, 특정도서 생태계조사, 왜래생물 안전관리조사, 전국 뉴트리아서식조사, 김해시 자연생태계조사, 영남씨그랜트 해양생물조사)업무를 통해 숱한 야생동물 관련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많은 사람들, 특히, 아이들에게 야생동물을 비롯한 생물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자연생태체험학습 교육을 하였으며, 지금도 각종 단체와 대학에서 실내외 강의를 하고 있다. 더 나아가 신문 기고, 저서 활동도 하였다. 국내 최대 하천형 습지인 화포천습지(김해 소재)의 화포천습지생태공원 관리, 운영이라는 이채로운 경력도 있다. 국가기술자격증 중 17년의 역사를 가진 생물분류기사 자격증을 신설 초기에 취득하고, 이에 다양한 자료와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인터넷 카페를 만들고, 관리하며 생물분류기사 인력 생산에도 이바지하고 있다.

Puneet Pandey
연구원
University of Delhi (Degree: Bachelor)
Dr.APJ ABDUL KALAM TECHNICAL
UNIVERSITY (Degree: M.Sc., Ph.D)
Conservation Genome Resource Bank for Korean Wildlife
-Senior Researcher
Comparison of tiger (Panthera tigris) population estimated using non-invasive techniques of pugmark, camera trap, and DNA based analysis of hair and scat in Ranthambhore Tiger Reserve, Phase II: Estimation of tiger population.
Study of genetic diversity in wild (Sus scrofa cristatus) and domestic (Sus scrofa domestica) pigs to find level of hybridization between them in the vicinity of Ranthambore National park
Training of the frontline forest Staff on Legal and Forensic aspects
Korea-India Cooperative Study on Conservation Genetics of Tiger and Leopard: Development and Comparison of Ecological Genetic Techniques for Bengal Tiger and Korean Tiger, and for Indian Leopard and Korean Leopard (Indo-Korea Research Internship)

강혜진
연구원
농학박사
경북대학교 동물공학과 학사졸업
서울대학교 동물생명공학과 박사졸업
동물 복지 연구

이영
연구원
수의학박사
중국 연변대학교 지리학 석사 졸업
서울대학교 수의생리학 박사 졸업
한국표범 복원 가능성의 기초적 평가를 위한 융합연구
고문헌 수록 유용해양생물자원 수집과 발굴

이해룡
연구원
산림학 박사과정
중국 연변대학교 석사 졸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박사과정
해외 생물다양성 보전 연구

송혜경
연구원
이학석사
동물원수족관학 석사
박사과정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학사 졸업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분자생태학 석사 졸업
미국 George Mason University 동물원수족관학 석사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박사과정
(전) 서울동물원 큐레이터
(현) 에버랜드 동물원
동물 복지 연구

정대철
연구보조원
석박사 통합과정
한양대학교 생명공학과 학사 졸업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석박통합과정
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 연구원
(사)한국범보전기금 연구원(비상근)
2020 ASF 대응 야생멧돼지 서식환경 조사 민간조사원
아무르 호랑이 생태유전학적 연구
양서류 개체군유전학적 연구
수달 식이물 분석 연구

김지현
연구보조원
농학석사
석박사 통합과정
상명대학교 생명과학과 학사 졸업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산림환경학 석사 졸업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생명과학 석박통합과정
국립멸종위기종복원센터 연구기본계획 및 도입종의 관리방안 연구용역 (연구보조원)
한강 및 주요지천의 조류 및 포유류 조사 분석 (연구보조원)
국가철새연구센터 종합 운영계획 수립 연구 (연구보조원)
2016년 해외 생물다양성 보전 연구 (연구보조원)
한강 및 주요지천의 조류 및 포유류 조사 분석 (연구보조원)
산불피해지 산림동물상 변화 모니터링 (연구보조원)
해외 생물다양성 보전 연구(3차년도) (연구보조원)
(위탁과제)산림동물상 변화 모니터링 (연구보조원)
해외 생물자원 발굴ㆍ분류(2단계 1차년도) (연구보조원)
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 연구원
(사)한국범보전기금 연구원(비상근)
한국 수달 생태유전학적 연구

김동윤
연구보조원
수의학석사
연세대학교 생물학과 학사 졸업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생리학 석사 졸업
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 연구원
(사)한국범보전기금 기획담당연구원(비상근)
서울대학교 수의과학연구소 객원연구원
2012 속리산국립공원 공원자원 모니터링 보조조사원
2013 북한산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 보조조사원
2013~2016 전국자연환경조사 일반조사원
2019~2021 국립생물자원관 외부연구원
2020 국립생태원 외부연구원
2020 ASF 대응 야생멧돼지 서식환경 조사 민간조사원
2021 멧돼지 서식현황조사 조사원
2021 야생동물서식실태조사 참여연구원
2021 전국자연환경조사 일반조사원
한국 옴개구리 분자계통 및 개체군유전학적 연구
한국 여우 멸종요인 인문사회학적 연구
블로그: Dreamcat의 브런치

김문정
연구보조원
수의학석사
경북대학교 생명식품공학 학사 졸업(생물학 복수 전공)
서울대학교 수의생리학전공 석사 졸업
천연기념물 동물치료소 사업
천년기념물(야생동물)구조 치료 및 관리 교육 사업
주요동물자원의 유전자 다양성 연구
철새유전자 특성 연구

이장미
연구보조원
석사과정
충남대학교 동물자원생명과학과 학사 졸업
North Dakota State University Zoology 학사 졸업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석사과정
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 연구원
(사)한국범보전기금 연구원(비상근)
2013.12~2014.1 국립생물자원관 인턴쉽
2020 ASF 대응 야생멧돼지 서식환경 조사 민간조사원
2021 멧돼지 서식현황조사 조사원
아무르 호랑이 보전유전학적 연구

고유진
연구보조원
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 행정

이성준
보조원
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 실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