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교육 후기
2022심화과정
오리엔테이션&직무교육 1 (2022년 4월 30일)
설레는 봄날에 첫 심화 교육으로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스코필드홀에서 오리엔테이션과 직무교육이 있었습니다. 기본과정부터 함께 해주셨던 강원대학교 박영철 강사님의 "카메라 트랩 분석Ⅰ” 강의와 최현명 강사님의 "야생동물 흔적 종 동정 및 생태Ⅰ”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박영철 강사님의 카메라 트랩 분석 방법과 사례에 대한 강의로 심화 교육에서 필요한 조사 방법과 최현명 강사님의 그림으로 배우는 야생동물의 종 동정 방법을 익혔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있을 심화과정의 오리엔테이션으로 [야생동물 실태조사 전문인력양성사업] 2022년도 교육이 시작되었습니다.



직무교육 2(2022년 5월 14일)
심화과정의 직무 교육은 최태영 강사님의 “멸종위기종 보전 및 생태”와 박한찬 사무국장님의 “유전자 분석을 위한 비침습적 샘플링” 강의가 있었습니다. 다행이도 심화과정에서는 대면 교육이 가능하여 높은 교육 몰입도와 매끄러운 질의응답을 이끌어낼 수 있었습니다. 국립생태원의 최태영 강사님이 진행한 국내 멸종위기종 현황과 멸종위기종 야생동물의 흔적과 생태 및 멸종위기종의 보전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신 뒤 야생동물 조사와 연구에 대한 열정적인 질의응답이 이루어졌습니다. 그리고 박한찬 사무국장님의 비침습적 샘플링과 시료 종류, 그리고 수달 분변을 이용한 연구를 다루면서 조사 후 연구 진행도에 대한 강의가 있었습니다.




직무교육 3 (2022년 6월 4일)
세번째 직무 교육의 내용은 박쥐류와 설치류의 조사 방법으로, 김선숙 강사님의 “특이서식지 서식 포유류(박쥐류) 생태 및 조사 방법”과 이은재 강사님의 “소형포유류(설치류) 조사 방법론”, 그리고 최현명 강사님의 “야생동물 흔적 및 생태” 교육이 있었습니다. 김선숙 강사님이 진행한 강의에서는 박쥐의 분포와 생태부터 생태계 내 박쥐류의 역할과 조사 방법 등을 열정적으로 알려주어 교육생들이 눈을 반짝거리며 교육을 들었습니다. 이어진 이은재 강사님의 설치류 조사 방법론 강의에서는 국내 설치류 현황과 서식 특성, 그리고 조사계획 수립부터 포획 방법까지 자세하게 가르쳐 주어 교육생들은 곧 진행될 현장 실습을 위해 메모도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마지막 최현명 강사님의 야생동물 흔적 및 생태에 대한 심화 교육에서는 외래종과 국내 서식종을 비교하며 그림으로 설명하는 강의를 해주었는데 특히 대만사슴과 붉은사슴 흔적과 노루와 산양 등의 흔적을 비교하며 생태를 설명하는 시간이여서 유익한 시간을 보냈습니다.




직무교육 4 (2022년 7월 23일)
9주차에 진행된 4회차 직무 교육에서는 보고서 작성에 필요한 “QGIS의 활용 및 실습”강의를 들었습니다.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컴퓨터실에서 진행된 임상진 강사님의 QGIS 강의는 모든 교육생들이 강의를 따라서 직접 QGIS를 사용해보는 시간이었는데 생물지리정보를 분석하는 방법부터 GPS 데이터를 사용하여 QGIS를 활용하는 방법 등을 해봄으로써 보고서 작성에 필요한 실무 교육이 진행되었습니다. 처음 접해보는 프로그램이라서 강의를 따라가기 어려웠지만 강의 후 추가 영상 자료를 제공해주어 복기할 수 있어서 추후 보고서 작성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직무교육 5 (2022년 8월 20일)
5회차 직무 교육은 수의과대학에서 3가지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멸종위기종 보전 및 생태Ⅲ”라는 주제로 최현명 강사님의 산양과 노루의 흔적 비교 및 생태, 그리고 담비와 수달의 생태 비교 등의 강의가 진행되었고, 이도훈 강사님의 “외래종 분류 및 생태”강의를 통해 뉴트리아, 사향쥐, 대만사슴의 서식 현황과 분포 등의 정보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교육해서 집중하여 들을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박한찬 사무국장님의 “비침습적인 샘플링을 활용한 유전자분석” 강의에서는 지난 현장에서 수집한 수달 분변 분석 결과와 수달 분변으로 개체 식별하는 방법을 들었습니다.




직무교육 6 (2022년 10월 22일)



심화과정의 마지막 직무 교육은 임상진 강사님의 “보고서 작성 실습”이 진행되었습니다. 카메라 데이터 정리하는 방법과 분석하는 방법, 그리고 연구 사례와 보고서 작성법을 설명하며 보고서 작성 양식을 소개해주는 시간으로 교육생들이 평가 후 보고서 작성에 필요한 여러 정보와 팁을 알려주는 강의였습니다.